- >

 

 
내면소통
마음에도 근육이 있다. 몸의 근력처럼 마음근력도 체계적이고 반복적으로 훈련하면 강해진다. 베스트셀러 《회복탄력성》 출간 후 한층 더 깊이 마음근력 연구에 집중해온 김주환 교수는 신간 《내면소통》을 통해 마음근력을 키우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을 밝혔다. ‘내면소통’이 마음근력의 기초이며, 올바른 내면소통을 위한 최선의 방법은 명상이라는 것. 그는 ‘내면소통 명상’의 효능을 입증하기 위해 국내 유수의 뇌과학자, 정신건강의학 전문의들과 공동 연구를 진행하는 한편 그 연구 결과를 현장에서 직접 검증했다. 일례로 프로야구팀 NC다이노스의 현역 선수들을 대상으로 마음근력 훈련을 실행해 경기력 향상에 일조했고, 이를 계기로 2017년도부터는 연세대 야구팀의 멘털 코치로 활동, 50%를 웃돌던 승률을 80% 이상으로 끌어올리는 성과를 내놓기도 했다. 현재는 정신건강의학과 의사들을 대상으로 내면소통 명상법을 강연하는 한편, 각계각층의 리더와 명상 강사들에게 명상 훈련을 전수하고 있다. 수년에 걸친 집필을 마무리한 2022년 11월, 처음으로 일반인에게 공개된 저자의 명상 강연은 유튜브에서 누적조회 수 300만 뷰를 넘어서며 수많은 이의 삶을 변화시키고 있다. 이 책에서 제시하는 내면소통 이론과 마음근력 훈련법들을 신뢰할 수 있는 이유다. 출간에 앞서 이 책을 먼저 읽은 최재천 교수는 저자의 명상을 “최첨단 뇌과학과 물리학에 기반하여 통섭적으로 구축한 명상”이라 규정했다. 흔히 생각하는 종교적이고 신비주의적인 명상이 아니라, 최신 데이터와 현대과학으로 입증된 명상이라는 것이다. 철저한 검증과 실험으로 일관된 이 책 《내면소통》은 그 어느 때보다 마음근력이 약해진 우리 디지털 인류에게 건강하고 행복한 삶의 방법을 제시하는 방향타가 되어줄 것이다.
저자
김주환
출판
인플루엔셜
출판일
2023.02.27

 
안녕하세요. 오늘은 김주환 교수의 강의 중 '감사' 파트를 요약해 보겠습니다.
김주환 교수는 강의할 때 영어 단어를 참 많이 사용합니다.  그 점 양해 바랍니다.
 

감사의 어원

'thank'는 어원 상 'think'와 같다. 즉 'thank you'는 '네가 내게 해준 걸 잊지 않겠다.'는 의미가 된다.
'appreciate'는 가치를 어림잡다. 평가하다란 뜻이다. 쉽게 말해서 너의 행위를 인정한다는 뜻이 된다.
'고맙다'의 어원은 '곰'이라고 한다. 여기서 곰은 신과 같은 존재다. 신에 대한 감사를 뜻한다.
 

감사의 효과

뇌연구 결과, 감사 명상은 뇌의 전전두엽 피질을 활성화한다. 이 부위가 활성화되면 부정적인 생각이 줄고 우울증 예방의 효과가 있다.
감사하는 마음은 자기긍정과 타인긍정을 동시에 하는 효과가 있다. 
감사하는 마음은 이미 모든 것을 이룬 사람의 마음 상태이다. 
 

감사 훈련법

내 삶이 은혜, 은총임을 깨닫는다.
감사할 것을 생각해 본다. 생각하면 감사할 일이 얼마나 많은지 깨닫게 된다.
한순간 한순간의 소중함을 깨닫는다. 호흡 하나에도 감사할 수 있다. 순간순간을 음미(savoring)한다.
'savoring' 훈련 -  공기, 사랑, 행복 같이 진정한 가치는 값을 매길 수 없다. 'valueless(무가치한)'가 아닌 'priceless(값을 매길 수 없는)'이다.
*김주환  교수는 'savoring'의 정확한 한국어 번역어를 찾기 힘들다고 했다. 개인적으로는 '만끽'이나 '완상'정도가 어울릴 듯하다. 
 

감사 일기

매일 밤 잠들기 전에 하루 동안 있었던 일 중에서 감사할 만한 일을 2, 3가지 쓴다.
3개월간 지속한다.
그러면 뇌가 감사할 일을 찾아서 모니터링을 시작한다. 즉 '감사의 렌즈'로 세상을 보게 된다. '세상은 보는 대로 보인다.'
그러다 보면 감사할 일이 더 자주 생기게 된다.

 


 

느낌

김주환 교수는 기독교적 배경을 갖고 있고 미국에서 박사학위를 딴 분입니다. 대학에서는 정치학을 공부했지만 대학원에서는 커뮤니케이션을 전공했습니다. 특이하게도 미술평론으로 문단에 데뷔한 이력도 있습니다. 김주환 교수의 강의나 책은 현대 과학의 최신 트렌드를 잘 반영하고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자신의 주장을 뒷받침하는 배경 이론을 곳곳에 포진해 놓고 있습니다. 하지만 굉장히 치열하게 논증하다가도 어느 순간에는 황당하게 점프해 버리는 영역도 있습니다. (기승전 '본인의 슬로건') 하지만 그 정도는 누구한테나 있는 실수라고 생각합니다. 인간은 완벽할 수 없으니까요. 
김주환 교수는 명상을 과학적 테두리 안에 넣으려고 노력하는 분입니다. 명상은 분명 효과가 있지만 아직도 미신이나 신비주의 안에 있는 느낌도 많습니다. 김주환 교수는 명상을 많은 부분에서 뇌과학의 토대 위에서 설명합니다. 혹시 명상이 특정 종교의 사유물이 아닐까라고 생각하는 분은 이런 접근 방식이 거부감을 줄일 수 있겠습니다. 
 
 

이미 우리는 은총 속에 살고 있다.
삶의 비극은 너무 많은 고통 속에 있는 것이 아니라
너무 많은 것을 받았음에도 그것에 감사하지 못하는 것이다.

- 마이스터 에크하르트

 


 

+ Recent posts